동물약국

강아지 간질 증상, 원인, 치료제 종류 등 동물약국에서 모두 알려드려요 :)

이수역 광주약국 2025. 3. 12. 17:14

강아지의 간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 외적인 원인으로는 중독, 신부전, 저혈당 등이 있으며, 뇌 자체의 문제로는 뇌염, 뇌수두증, 뇌종양 등이 있습니다. 발작이 발생할 경우, 기본적인 검사와 함께 MRI나 CT촬영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며, 원인이 없으면 특발성 간질로 진단됩니다. 특발성 간질은 강아지 발작의 75%를 차지하는 주요 원인으로, 주로 생후 6개월에서 6년 사이에 발생하며 유전적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발작 시에는 의식을 잃고 다리를 휘저으며 침을 흘리는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발작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페노바르비탈, 칼륨 브로마이드, 조니사마이드, 레베티라세탐 등이 있으며, 동물약국에서는 펙시온정, 레비세딘 정 등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 간질, 어떤 질병이고 원인은 무엇인가요? 

 

반려견에서 발생하는 경련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뇌 외적으로 중독, 신부전, 저혈당, 저칼슘혈증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뇌 자체에 문제가 생겨 뇌염, 뇌수두증, 뇌종양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에서 발작이 발생할 시, 발작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 우선 방사선촬영, 혈액검사, 복부초음파촬영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실시하고, MRI나 CT촬영 등의 검사를 이후 진행합니다. 이러한 검사 결과 뇌 내적, 외적으로 구조적인 문제가 발견되지 않을경우 원인이 없는 특발성 간질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발성 간질(IE,idiopathic epilepsy) 발작이 있는 개의 약 75%에서 발생하는 강아지 발작의 가장 주된 원인이며,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에게 가장 흔한 만성 신경학적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발성 간질은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아 선천적,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생애 동안 발작 상태가 반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병할 경우, 일반적으로 강아지의 생후 6개월에서 6년 사이에 발작이 주로 발생합니다. 

 

강아지 간질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강아지 특발성 간질의 증상은 발작 전후의 증상과 발작의 증상으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발작 전후에 반려동물은 구역질, 시력 장애, 숨기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발작이 시작될 경우 반려동물은 의식을 잃고 반응하지 않거나, 다리로 노를 젓는 듯한 동작을 하거나, 침을 흘리고, 소변 또는 대변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의식을 잃고, 수영하듯 다리를 휘저으며, 침을 흘리는 증상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강아지 간질, 어떤 의약품으로 치료하나요?

 

반려견이 6개월 이내에 두 번 이상의 발작을 겪거나 5분 이상 지속되는 발작을 겪는 경우,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뇌 외적 원인을 조정하기 위한 적합한 약물치료를 시행하거아, 혹은 발작 증상을 제어하기 위한 항경련제를 투여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칼륨 브로마이드(KBr), 조니사마이드(Zonisamide), 레베티라세탐(Levetiracetam) 등이 있습니다. 모든 항경련제 약물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진정작용(sedation)입니다

 

전신발작 증상 완화를 위한 동물용의약품 중, 동물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메피토인 성분의 펙시온 정, 비티라세탐 성분의 레비세딘 정이 있습니다. 

 

 


출처

  1. [반려동물 건강이야기] 원인 없는 강아지발작, 범인은 ‘특발성뇌전증’, 헬스경향, 2020.09.22
  2. [반려동물 건강이야기] 경련하는데 원인 모른다...특발성 간질, 어떻게 관리할까?, 헬스경향, 2025.01.08
  3. Idiopathic Epilepsy | Seizures in Dogs and Cats, https://www.vetspecialists.com/vet-blog-landing/animal-health-articles/2020/04/29/idiopathic-epilepsy-seizures-in-dogs-and-cats
  4. 농림축산검역본부 아지트, 제품정보 검색, https://medi.qia.go.kr/index